본문 바로가기

World/Asia

일본과 중국의 센카쿠 열도(尖閣列島) 분쟁 배경

일본과 중국의 센카쿠 열도(尖閣列島, 중국명: 댜오위다오, 钓鱼岛) 분쟁 배경

센카쿠 열도(尖閣諸島, 댜오위다오)는 일본과 중국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동중국해의 무인도 군도로, 이 지역을 둘러싼 역사적 배경, 국제법적 시각, 지정학적 이해관계가 얽혀 있습니다.


1. 센카쿠 열도 기본 정보

  • 위치: 일본 오키나와현 이시가키 섬에서 약 170km, 중국 푸젠성에서 약 330km.

  • 구성 섬:

    1. 우오쓰리시마(魚釣島, 댜오위다오) – 가장 큰 섬
    2. 기타코지마(北小島)
    3. 미나미코지마(南小島)
    4. 쿠바시마(久場島)
    5. 다이쇼지마(大正島)
  • 전략적 가치

    • 석유·천연가스 자원: 주변 해역에는 약 1,000억 배럴의 석유가 매장된 것으로 추정됨.
    • 풍부한 어업 자원: 중요한 어업 지역으로, 중국과 일본 모두 이곳을 경제적 기반으로 삼음.
    • 군사적 요충지: 일본-대만-필리핀을 잇는 방어선에 위치해, 중국의 해군 활동을 견제하는 중요한 지점.

2. 역사적 배경

① 일본의 실효 지배

  • 1895년: 일본이 "무주지(terra nullius, 주인이 없는 땅)"로 간주하고 영토로 편입, 오키나와현에 소속시킴.
  • 1900년대: 일본 민간업체가 가쓰오부시 공장을 운영했으나,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무인도가 됨.
  • 1951년: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으로 미국의 군정 하에 들어감.
  • 1972년: 오키나와 반환과 함께 일본이 센카쿠 열도를 다시 통제.

② 중국의 영유권 주장

  • 1971년: 유엔 조사에서 센카쿠 주변에 석유 자원이 매장되어 있다는 발표 이후, 중국과 대만이 영유권 주장 시작.
  • 중국의 주장
    1. 역사적 영토: 명나라·청나라 시대부터 중국 어민들이 이용하던 지역.
    2. 부당한 강탈: 1895년 일본이 청일전쟁 와중에 불법으로 빼앗음.
    3. 대만과의 연계: 센카쿠 열도는 대만과 연결된 영토이므로, 대만이 중국의 일부라는 원칙에 따라 센카쿠도 중국 영토.

👉 일본은 "1895년 국제법에 따라 합법적으로 영토 편입"했다고 반박하며 중국의 주장을 인정하지 않음.


3. 국제법적 시각

  • 일본의 입장:

    • 1895년 "무주지 원칙"에 따라 합법적으로 영토 편입.
    • 1972년 이후 일본이 실효 지배 중이며, 이는 국제법상 영유권의 강한 근거.
  • 중국의 입장:

    • 청나라 때부터 사용된 섬이며, 일본이 청일전쟁을 통해 불법으로 강탈.
    • 대만과 함께 반환돼야 할 영토였으나, 샌프란시스코 조약에서 누락되었다고 주장.
  • 국제 사회의 반응:

    • 미국: 센카쿠 열도는 미·일 안보 조약의 적용 대상이라고 공식 입장 발표 → 일본 방어 지원.
    • 대만(중화민국): 중국과는 별도로 대만의 일부라고 주장.

👉 현재 일본이 실효 지배하고 있지만, 중국은 외교·군사적으로 압박하는 상황.


4. 최근 중국의 도발과 대응

① 중국의 도발

  • 2010년 9월: 일본 해상보안청과 중국 어선 충돌 사건 → 일본이 중국 선장을 체포하며 외교 갈등 발생.
  • 2012년 9월: 일본 정부가 센카쿠 열도를 국유화(민간 소유자에게서 매입) → 중국 내 반일 시위 격화.
  • 2013년 11월: 중국이 동중국해 방공식별구역(ADIZ) 설정 → 일본과 미국의 반발.
  • 2021년 2월: 중국이 "해경법"을 제정, 자국 해경이 "외국 선박에 무력 사용 가능" 조항 포함.

② 일본의 대응

  • 해상보안청(해경) 순찰 강화: 센카쿠 주변 해역에 일본 순찰선 상시 배치.
  • 미국과 동맹 강화: "미·일 안보조약에 따라 센카쿠 방어"를 재확인.
  • 자위대 배치 확대: 오키나와, 이시가키, 미야코지마 등 남서부 방위력 강화.

5. 지정학적 의미

요소 일본의 관점 중국의 관점
안보 일본 영토 보호, 중국 해군 견제 동중국해에서 해양 패권 확대
자원 센카쿠 주변 석유·천연가스 확보 에너지 자원 확보
어업 일본 어업권 보호 중국 어민 보호
미국과의 관계 미군의 보호 및 군사 협력 강화 미국의 영향력 축소

6. 향후 시나리오

① 일본의 실효 지배 유지 (현상 유지)

  • 일본이 해상보안청과 자위대를 강화해 실질적인 지배를 유지.
  • 중국의 압박은 계속되지만, 직접적인 군사 충돌 없이 외교적 갈등 지속.

② 중국의 지속적 도발 (회색지대 전략)

  • 해경과 어선을 동원한 "점진적 점유" 시도.
  • 일본이 강하게 대응하면 외교적 마찰, 약하게 대응하면 중국의 점유 강화 가능.

③ 군사적 충돌 가능성 (최악의 시나리오)

  • 우발적 충돌이 실제 전쟁으로 확대될 가능성.
  • 미국이 개입할지 여부가 핵심 변수.

7. 결론

  • 일본은 국제법적으로 유리하고, 실효 지배를 유지하고 있음.
  • 그러나 중국은 장기적으로 "해경·민간 선박·군사적 압박"을 이용해 점진적 점유를 시도하고 있음.
  • 미국의 개입 여부가 중요한 변수이며, 일본은 해상보안청과 자위대를 강화해 대응하는 중.
  • 센카쿠 문제는 단순한 영토 문제가 아니라 "미·중 패권 경쟁"의 일환으로 더욱 복잡해질 가능성이 큼.

향후 동중국해에서 일본과 중국의 갈등이 어떻게 전개될지 주목해야 합니다.